안녕하세요, 꿈꾸는 약사입니다. 이번에는 군인 분들이 누릴 수 있는 복지들과 관련한 내용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2024 군인 월급 및 군 적금 수령액
년도(총수령액) |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2024 | 640,000 | 800,000 | 1,000,000 | 1,250,000 |
2025 | 860,000 | 960,000 | 1,200,000 | 1,500,000 |
일단 가장 중요한 사실 하나를 정정하려 합니다. "육군 병장의 월급이 200만원을 넘었다.". 이는 해석의 방식에 따라 사실이 될수도, 아닐수도 있습니다. 제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이 부분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흔히 '군인 적금'으로 통하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은 2024년도 기준으로 월 20만원의 금액을 서로 각기 다른 두 개의 은행에 예치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상황을 단순화 하기 위해, 월 40만원의 적금을 연 100%의 이율로 들고 있다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위에 기재한 금액은 일반 병사가 수령하게 되는 전체 금액이고, 누구나 군인 적금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 월 40만원을 적금에 예치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보통의 경우 한 번이라도 적금 이체 시기를 놓치게 되면 그 즉시 월 40만원에 대한 이자 금액 40만원을 손해보기 때문에 '군인 월급 공제'의 옵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상기된 표의 월급액 기준으로 월40만원을 제하는 금액을 실수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경우, 적금 통장은 매월 40만원의 금액이 차곡차곡 쌓이고 있으며 / 추가로 나라에서 지급해주는 연 100%의 이율 금액이 적금 만기 시 한번에 정산되게 됩니다. 조금 더 상황을 단순화시키면, 매월 40만원을 적금에 들면 보이지 않는 돈 40만원이 추가로 통장에 들어오고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24년도 군번의 경우, 아래와 같은 금액을 "매월"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그와 별개로, 적금 만기(전역) 시에 총 40만원/월*18개월(본인 부담)+40만원/월*18개월(나라 부담) = 144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만기 시 연 5%의 이율을 적용하므로 1500만원 가까운 금액을 수령하게 됩니다.)
년도(실수령액) |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2024 | 240,000 | 400,000 | 600,000 | 850,000 |
2025 | 460,000 | 560,000 | 800,000 | 1,100,000 |
*월별 실수령액 기준 금액이며, 적금 만기 시 한번에 1500만원 가량의 금액을 추가로 수령하게 된다. |
중요한 사실 두번째는, 24년도 입대한 군번에게는 25년도의 매칭지원금 인상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즉 매월 군인 적금으로 납부할 수 있는 금액이 40만원으로 제한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24년도 군번의 실수령액은 상기와 같습니다. 이 경우 1년반의 군생활을 청산하면, 몇월 입대인지에 따라 군인 월급으로 받을 수 있는 전체 금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2025 군인 월급 및 군 적금 수령액
년도(실수령액) |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2025 | 860,000-550,000 | 960,000-550,000 | 1,200,000-550,000 | 1,500,000-550,000 |
*25년도 이후 입대하는 군번의 실수령액. 이 경우 매칭지원금 55만원으로 적금 상품에 가입 가능하며, 최대로 인상된 군인 월급을 받게됨. |
"그래서 어떻게 군인 월급이 200만원이 넘는건데?" 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군 적금에 55만원을 넣지 않은 병장은 150만원의 월급을 실수령하게 됩니다.
만약 가상의 계좌에 여유 있는 목돈이 있어 온전히 이 150만원의 금액을 수령하고,
또 가상의 계좌로부터 55만원의 군인 적금을 예치하게 되는 경우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금액이 적금 계좌에 55만원이 쌓이게 됩니다.
다만,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연이율 100%의 매칭지원금의 경우에는 "만기 시" 수령 가능한 금액이지만,
편의상 매월 55만원의 적금을 실제로 수령하고 있다고 가정해도 전체 수령하는 금액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50만원의 월급 기준으로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55만원의 금액을 받는다고 가정 시, 205만원 즉 200만원을 넘기는 금액이 됩니다.
다만 현재 상황으로 보았을 때, 병장이 실제 가용 가능한 실수령액은 150만원에서 월적금액 55만원을 공제한 95만원이 됩니다. 다만 이 경우 적금 계좌에 55만원이 자동으로 이체되고, 또 이에 대한 매칭지원금 55만원이 보이지 않는 돈으로서 누적이 되는 것이므로 적금 계좌에 총 110만원의 돈이 적립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했을 때 실수령액 95만원 + 적금 만기(전역) 시 수령 가능한 한달치 금액 110만원으로 계산 시에 205만원의 금액이 되는 것입니다.
25년도 이후의 군번은 월 적금액 55만원 기준으로 55만원/월*18개월(본인 부담)+55만원/월*18개월(나라 부담) = 198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만기 시 나라에서 연 5%의 이자를 추가로 제공하므로 2080만원 가량의 금액을 전역 시 수령하게 됩니다.
최종적으로 적금 만기 시 수령하는 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상품은 비과세 상품으로 15.4%의 이자 소득세는 면제됩니다.
24년도 군번 : 40만원/월*18개월(본인 부담)+40만원/월*18개월(나라 부담) = 1440만원을 수령(5% 이자율 기준으로 30만원 가량 추가)
25년도 이후의 군번 : 55만원/월*18개월(본인 부담)+55만원/월*18개월(나라 부담) = 1980만원을 수령(5% 이자율 기준으로 40만원 가량 추가)
군인 복지 혜택
이러한 군인 월급 인상 이외에도, 나라에서 많은 부분에 있어 군장병들의 복지 처우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더 많은 복지 혜택이 있지만, 저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 부분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휴드림 이용한 로카어스 호텔 예약
2. 연 12만원 자기개발금 지원 혜택
3. KORAIL, SR 이용한 KTX/새마을호/ITX/무궁화호/SRT 표 5% 할인
자세한 내용은 이어지는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군 장병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일상 > 군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대] 카투사 입대 한달 전 - 24.04 결산 (0) | 2025.01.14 |
---|---|
2024 군인 복지 혜택 - 휴드림, 로카어스, 자기개발금, KORAIL, KTX, SRT (7) | 2024.09.26 |
2024 육군 훈련소, 카투사 훈련소 KTA 준비물 (3) | 2024.09.08 |
[군대] 카투사 입대 두달 전 - 24.03 결산 (8) | 2024.09.07 |
약대생을 위한 군대 의사결정에 관한 조언 - 카투사, 석전연, 박사 (12) | 2024.09.05 |